교회에 적합한 디아코니아 실천과 푸드뱅크
교회에 적합한 디아코니아 실천으로서 대표적인 사업은 푸드뱅크와 무료급식 사업을 들 수 있다. 푸드뱅크 사업은 “식품기부 활성화에 관한 법률”(2006년 9월)이 제정됨으로써 기부식품이 활성화됨에 따라 전국적으로 전국 푸드뱅크, 광역푸드뱅크, 기초푸드뱅크로 나뉘어 발전하게 되었고, 지금은 전국에 417개소에 이르고 있다.
푸드뱅크는 “식품 제조 기업 또는 개인으로부터 식품을 기탁 받아 결식아동, 독거노인, 재가 장애인 등 기초생활수급자를 비롯하여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식품을 지원”하는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이다. 푸드뱅크 사업은 저소득층 지원이나 공동체 의식의 제고 등 사회복지 증진은 물론, 자원 절약 등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교회에 적합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는 가장 의뜸이다. 따라서 한기장복지재단은 지난 2011년도에 전국단위에 푸드뱅크를 설치하기 시작하여 현재 각 시도별로 설치 운영하고 있다.
현재 우리 교단은 전국 8개 푸드뱅크와 2개의 푸드마켓이 있는데, 인천 해인교회/계양구 기초푸드뱅크, 신갈장로교회/신갈사랑나눔 기초푸드뱅크, 원주영강교회/원주영강 기초푸드뱅크, 청주제일교회/제일 기초푸드뱅크, 용당장로교회/목포예사랑나눔 기초푸드뱅크, 남원살림교회/남원시 기초푸드뱅크, 완도제일교회/푸드뱅크 사랑나눔은행, 포항내일을여는집 푸드뱅크가 서로 연대하여 운영되고 있다. 푸드뱅크 사업의 관건은 지역의 자원을 개발하고, 서비스 대상자를 조직화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의 자원봉사자를 조직화하고, 자원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파일 |
---|---|---|---|---|---|
28 | 2023년 월간목회 원고-내일을여는집 | 이준모 | 2023-05-10 | 381 | |
27 | 새해의 사회복지 선교전략 | 이준모 | 2017-03-01 | 2031 | |
26 | 교회성장 2014년 12월호-경제적으로 소외된 이웃을 돕는 교회 원고 | 이준모 | 2016-10-13 | 1902 | |
25 | 원주 영강교회 푸드뱅크 헌신예배시 발제 | 이준모 | 2016-10-02 | 2776 | |
24 | 2016 서강대 개강 미사 강론(설교 :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1 | 이준모 | 2016-09-10 | 3020 | |
23 | 사회복지사의 인권과 국가폭력 | 이준모 | 2016-09-07 | 2321 | |
22 | 인천민중교회의 역사와 과제-1996년 시대와 민중신학에 실린 원고 | 이준모 | 2016-07-16 | 1862 | |
21 | 기독교 사회적기업의 6년을 돌아본다 | 이준모 | 2016-07-13 | 1867 | |
20 | 노인장기요양제도, 이대로 존치할 수 없다. | 이준모 | 2016-07-13 | 1625 | |
19 | 희망을 쏘아 올리는 선거를 만들자-4.13 선거를 앞두고 | 이준모 | 2016-07-13 | 1403 | |
18 | 민관 협력의 모델을 만들자 | 이준모 | 2016-07-13 | 1520 | |
17 | 총회 교육원 신년 목회 원고 | 이준모 | 2015-11-14 | 2010 | |
16 | 한기장 20주년과 기장사회복지선교의 전망 1 | 이준모 | 2015-10-11 | 2557 | |
15 | 장로교, 우리 사회의 희망 로드맵 만들어야 | 이준모 | 2015-10-11 | 1853 | |
14 | 다문화사역 더 이상 미뤄선 안 된다 | 이준모 | 2015-10-11 | 1754 |
댓글